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을

학점은행제를 통해 쉽고 빠르게 완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차근차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응시하려고 하는데

일단 자격문제 때문에 머리 아파하시는 

분들을 많이 보곤 합니다. 


종종 이런 문의를 받곤 합니다. 


Q)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이 4년제만 

되더라구요


저는 2년제 전문대를 졸업했고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을 맞출 수 있는 방법 없나요?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을 보니 모든 학과

응시가능인데 학력만 맞추면 되는거죠?


그래서 오늘은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이

되지 않은 분들를 위해 준비했습니다. 


핵심만 정확하게 전달해드릴께요~

잘 따라와주세요!



그럼 먼저 정보처리기사 자격은 어떤 것인지

한번 간단하게 할아볼까요?


다들 취업이나 공무원 시험 준비 혹은

스펙향상을 위해서 많이 준비를 하는 

대표적인 자격증 중에 하나입니다. 


다들 잘 아시다시피 지금은 정보화시대입니다.

컴퓨터 및 정보활용능력이 많이 요구되구요. 

그래서 정보 및 컴퓨터 활용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 등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하면, 기업체의 전사실,

개발업체, SI업체 등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하거나 정보처리를 하는 업체 및 

부서에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시험일정도 볼까요?

보통 일년에 3번 시험이 있습니다. 


올해도 3회 시험을 보내요. 



이제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사응시를 하기 위해서는

첫째, 관련학과 4년제를 졸업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경영이나, 컴퓨터공학 등을 

전공을 해야지만 바로 응시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이러한 학력조건을 갖추지 못했다면

관련업무 4년 경력이있으면 됩니다. 

산업기사를 취득했다면, 1년의 경력만

있으면 되구요 


즉 이러한 학력이나 경력이 있어야 

바로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없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분들은 학점은행제를 통해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을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학은제가 무엇일까요?

아마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한번 정리를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학점은행제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학점인정 및 학위제도입니다. 

즉 학교 같은 곳입니다. 


고졸이상이라면 누구나 언제든지

원하는 전공을 선택해서 

공부를 하고, 학점인정을 받고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한

평생교육제도입니다. 


장점이라면 언제든지 시작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학점을 이수할 수 있어서

단기간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할 수 있고 

비용도 저렴하다는 것이죠~



자 그럼 학은제를 통해서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고졸이신 분들은 

106학점을 이수를 해야 합니다. 


전공은 경영학이나 컴퓨터공학

학사학위로 등록을 하고 

106학점을 이수하면 됩니다. 


기간은 최소 3학기 정도 걸립니다. 


전문대 졸이신 분들 역시 

106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그런데 2년제에서 이수한 80학점을

인정을 받기 때문에 

26학점만 추가로 이수하면 됩니다. 

기간은 1-2학기 정도면 되구요~


마지막으로 대졸이신 분들은

경영학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면 됩니다. 


4년제를 졸업한 경우 

학은제를 통해서 전공 48학점을 이수하면

새로운 전공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즉 경영학 학사학위를 2학기 1년과정으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학력별로 이러한 방법으로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을 만들 수 있는데요 

더 구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언제든지 테리쌤에게 문의해주세요~



학점은행제로 응시자격을 만드는

전체적인 과정입니다. 


먼저 학습자등록 이라는 절차를 통해서 

원하는 전공, 과정을 등록을 합니다. 


경영학 / 학사 학위 과정으로 등록을 하구요. 


그리고 106학점 혹은 48학점을 이수하면됩니다. 


마지막으로 이수한 학점을 학점인정신청을 

하고, 학위를 취득하시는 분들은

학위신청까지 하면 끝입니다~



지금까지 응시조건을 갖추지 못한 분들이

학점은행제를 통해 조건을 갖추는 방법을

차근 차근 안내해드렸는데요. 


궁금하신거나 관심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최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자격을 

만들 수 있도록 플랜을 짜드리고


온라인 수업도 쉽고 무난하게 수강

할 수 있도록 과정 안내를 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각종 학은제와 관련된 절차도

안내해드리기 때문에 

안내만 잘 따라와주시면 누구나 

쉽게 자격을 만들 수 있습니다~


경험이 많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래너를 선택하시면

수월하게 원하시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

























2020년도 정보처리기사가 바뀌었다고는 들었는데


1.필기만 바뀐건가요? 필기.실기 다 바뀐건가요?

2.그럼 더 어려워진건가요?

3.작년 실기는 주관식이였는데 손으로 쓰는 주관식 인가요? 아님 컴퓨터로 코딩해서 시험 보는 건가요?

4.아니면 실기 시험은 주관식인데 코딩 문제가 많이 나오는 건가요?

5. 2020 NCS정보처리기사 실기 책 살껀데 좋은 책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궁금해서 그러는데 번호 순으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공무원 준비를 하려고 하는데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이 있으면 가산점 3%를 받을 수 있다는걸 봐서요.

공무원 준비하는 분들이 다들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하는걸 보니 저도 미리 준비를 해놓아야 할거 같아서요.

근데 고졸은 정보처리기사를 취득 못한다는 내용을 봤는데 진짜인가요? 고졸로 공무원 준비하시는 분들 중 정보처리기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취득한건가요?

제가 잘 몰라서요... 정확하게 좀 알려주세요.



19년에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에 합격을했습니다. 실기시험은 합격하지않은상태입니다.

20년에 정보처리기사 시험이 변경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필기시험 합격하면 2년동안 유효했는데

전부다 날라가고 필기시험도 다시봐야되는건가요? 아니면 실기만 시험을봐도되는건지  궁금합니다